
본 사용된 것은 visual studio 2022 Community입니다. 처음부터 상세히 설명을 올립니다. 1. 폴더를 생성하거나 Git Clone을 통해 기존 파일을 commit할 수 있게 셋팅해줍니다. 또는 Visual Studio로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. 2.사용되는 프로젝트 내부에서 txt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. input / ouput input.txt output.txt 4. 프로젝트 우클릭 > 속성 > 구성 (Debug) / 플랫폼 : 활성 5. 구성속성 > 디버깅 > 명령인수 : output.txt 입력 나와서 컴파일 F5 시 셋팅된 input, output에 값이 출력된다. input에 값을 입력하면 된다. 이것을 이렇게 활용한다. 예제를 고대로 복사 붙여넣기..

Unreal Engine 버전 은 현재 5.2로 하고 있지만 이외 4 도 동일하게 해결 하면 된다. 우리가 가끔 에셋 이주 후 맵에 이런 현상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. 이런식으로 Material이 갑자기 검은색으로 보이는 현상들이 있다. 에셋 제작자가 무슨 짓을 한 건지 모르겠지만. 폴더 있는 것을 그대로 복사해서 옮길때 주로 생긴다. 알고보니 버추얼 텍스팅이라는 렌더링을 켜서 사용하는 무엇인가가 있었나 보다. 이런 오류 현상이 있으면 매우 답답하다. 원인을 찾을 수 가 없었다. 그냥 프로젝트 셋팅 -> 엔진 -> virtual Textures 를 찾아서 1. 버추얼텍스쳐 지원 활성화 2. 버추얼 텍스처 라이트맵 활성화 를 켜준다. -좀이 아..

다들 한번 쯤은 알 것이다. 물론 가끔 이런 버그들이 있는 경우들 때문에 곤란해 하는 경우도 많다. 순서가 일단 중요하다. 하지만. 이것을 진행하여도 만약 깨진다면. 잘 생각해보자. 일단 하기전 필수는1. 백업(압축파일저장)_ 필수! 평소 폴더로 이동시에 대량으로 에셋들을 폴더 정리 시키고 싶을때 이런식으로 많이 사용한다. 뭐 안그럴 때도 있지만. 본 콘텐츠 폴더에서 그대로 복사해서 정리해주면. 당연히 에셋 파일은 깨지게 되어있다. 콘텐츠 폴더 내부에서 절대로 바꾸면 안된다. 해당 폴더 경로 그대로 옮기는 이주 형식은 상관없다. 다만 그곳에서도 폴더를 추가해서 그 안쪽으로 넣는다거나의 행동이 안된다. 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자 ------> 뭐 예를 들어서 케이스들이 있다. 1. 에셋 이주 후 폴더 정리..

에셋 파괴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경로 체크를 해보자 > 윈도우 경로상에 언리얼을 설치함과 에셋 이주시에 에디터의 안정성을 위해서 에디터를 끄고 에셋 이주를 실행시키고 이때 에셋이주 할 때 Content 에서 벗어나지 말고 콘텐츠 폴더 에다 넣어두고 추후에 복사해서 변경을 하자 안그러면 메터리얼 뿐만 아니라 다 깨지는 현상이 나타난다.프로젝트 이동시에 기존에 입력했던 프로젝트 키들이 변경 될 수 있다 이것은 프로젝트 셋팅 > 입력 > 상단 익스포트 를 통해서 자신이 기존에 썻던 프로젝트의 셋팅의 대한 값을 불러들일 수 있다 버전에 따른 이주 에러 현상 정리를 해보자 메터리얼 이나. 어떤 파일을 옮길때 몇가지 주의사항이 있다.일단 언리얼 4 에서 언리얼 5로 프로젝트 파일을 옮길 때 아주 자잘한 없어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