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Unreal Engine에서 C++을 빌드하다가 생기는 문제 중에 아주 간단한 문제이다. _declspec... _cdecl 에러 가 발생하면 처음 봐야할 부분은 내가 프로젝트에 module을 가져왔는가 봐야한다. 언리얼엔진은 예전부터 만들어지면서 레거시 코드(오래된코드라고 이해하자) 등이 쌓여 있다. 그러다보니 개발 자체를 여러개의 모듈을 분리해서 만들다 보니까. 가져와서 붙여줘야한다 필요할 때 (예를 들어 플러그인도 비슷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)이런 부분에 있어서 언리얼엔진이 정말 잘 짜여졌다고 할 수 있겠다. 아무튼 ! FIX Server와 관련된 작업을 하다가 올린다. 엄청 간단한 에러이다. 그냥 프로젝트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.build.cs 라고 되어있는 C# 으로 만들어진 코드가 존재한다...

얼마전 시작했던 기능 프로젝트로 부터 맵 이동 구현하는데 있어서 내 프로젝트내에 비동기로딩이 필요했다. 이것은 게임 중 렌더링되어 처리되어야 할게 별로 없다면 그냥 동기방식으로 설정해도 무리는 없을 것 같지만. 다만 하도 고퀄이 되어가는 요즘시대에 게임은 오픈월드 방식을 고집하다 보니 계속 처리되고 좀더 간단한 방식이 필요하다 (한번 설정하면 계속 쓸 수 있는?) 나는 추후 프로젝트에 그런 맵 이동 방식을 구현하고자 동기와 비동기 방식에 대한 Level이동에 대해 연구하고 문서화하고 있다. ◎ 언리얼 엔진 비동기 에셋 로딩 참고로 동기/비동기 방식이 무엇인지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다면.이쪽 블로그를 참고해보면 좋을 듯 싶다. ◎ 인파님 동기/비동기&블로킹/논블록킹◎ 동기와 비동기의 개념 차이 👩💻..

static ConstructorHelpers::FClassFinder NetBp(TEXT("'Blueprint'/Game/HitUP/Widgets/Actors/BPC_NetActor.BPC_NetActor_C'")); 대부분의 문제 대부분 C++로 생성된 블루프린트 형식에 의해 고질적인 문제를 겪기도 한다. 위 코드와 같이 해당 C++로 생성된 파일에 대해 ' ' (quote) 안에 주소명(레퍼런스경로)를 적어주고 해당 필요 부분만 넣어주어 뒤에 명시적으로 _C 를 붙여준다. 이는 C기반임을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것이다. (안전한 방법) 보통은 그냥 가져온 내용을 Succeeded()로 확인하지 않아도 되지만 위 코드에서 찾기 힘든 주소명을 가진 객체가 제대로 할당 받지 못했을 경우 프로그램이 돌아가면서..

본 사용된 것은 visual studio 2022 Community입니다. 처음부터 상세히 설명을 올립니다. 1. 폴더를 생성하거나 Git Clone을 통해 기존 파일을 commit할 수 있게 셋팅해줍니다. 또는 Visual Studio로 프로젝트를 생성해줍니다. 2.사용되는 프로젝트 내부에서 txt 파일을 만들어 줍니다. input / ouput input.txt output.txt 4. 프로젝트 우클릭 > 속성 > 구성 (Debug) / 플랫폼 : 활성 5. 구성속성 > 디버깅 > 명령인수 : output.txt 입력 나와서 컴파일 F5 시 셋팅된 input, output에 값이 출력된다. input에 값을 입력하면 된다. 이것을 이렇게 활용한다. 예제를 고대로 복사 붙여넣기..